소아과 총론 > 신생아 관리

미숙아 총론 및 합병증

기본 개념

미숙아 총론 및 합병증

(1) 미숙아 총론

  • 저출생 체중아: 출생체중 < 2500g

  • 극소 저출생 체중아: 출생체중 < 1500g

  • 미숙아: GA <37주

  • 과숙아: GA ≥42주

  • 부당중량아: 임신주수 체중 ≥90백분위수

  • 부당경량아: 임신주수 체중 <10백분위수

** 임신 주수의 추정 : Ballard score


(2) 합병증

  • 측뇌실 부위의 혈관발달이 미비되어 측뇌실 부위에 뇌출혈 쉽게 발생하고, 허혈성 뇌 손상인 뇌실 주위 백질 연화증이 쉽게 온다.

  • 출생 초기 폐표면 활성제 부족으로 호흡곤란 증후군(유리질막증) 발생가능, 이후 무호흡 및 기관지폐이형성증

  • 산소와 인공호흡기 모두 활성산소에 의한 손상 및 압력 손상을 일으켜 결국 기관지폐이형성증을 유발

  •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필요한 치료만 하면서 기계환기는 가급적 빨리 제거

  • 미숙아 망막증 대비해 주기적인 안과검진 필요

  • 뇌 손상 확인 위해 뇌초음파 시행


(3) 저체중 출생아 간호

1) 경구 영양 조건

  • GA ≥34주, 출생체중 ≥1500g

  • 태변 배출되어야

  • 복부팽만이나, 복막염 증세 없어야

  • 담즙이 위 내용물에 섞이지 않았어야

2) 경관 영양

  • 코위관을 통한 영양공급

  • 적응증: GA <34주, 체중 <1500g

3) 퇴원전

  • 1500g미숙아, 산소투여 아기: 미숙아 망막증 선별검사

  • 모든 출생아: 청력검사, 혈색소, 적혈구 용적 검사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