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조숙증
정의: 이차성징의 발현이 여아 8세 이전, 남아 9세 이전
여아: 유방비대, 음모 출현, 질 출혈
남아: 고환크기증가, 음경비대, 음모 출현
분류
1) 성 조숙증 진단, 검사
① 병력 청취, 골연령검사, 성호르몬 검사
FSH, LH, Estrogen, Testosterone 증가
GnRH에 의한 반응이 사춘기 때와 동일
뼈 나이 > 만 나이
② (진성 성조숙증 확진 위해)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자극검사
2차성징은 있으나 사춘기 진행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기질적 질환이 의심안되면 우선 3-6개월 간격으로 키, 사춘기 진행상태를 관찰
환아의 성 성숙도가 Tanner 3이상이거나 골연력이 역연령에 비해 현저히 앞서면 관찰 기간없이 GnRH 자극검사 시행
GnRH 자극검사에서 LH 5.0 IU/L이상 증가시 진성 성조숙증
진성 성조숙증 진단시, 중추신경계 기질적 병변 때문인지 감별필요
모든 남아와 6세 미만에 2차성징이 시작된 여아, 특히 유방발달이 빨리 진행되는 여아에서 혈중 E2 농도가 30pg/ml이상시, 그리고 뇌병변 의심 환아에서 뇌 (뇌하수체) MRI 시행!
2) 성 조숙증 치료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작용제(GnRH agonist)
Leuprorelin, Leuprolide, Histrelin
GnRH 수용체에 작용하여 탈감작 → LH, FSH의 분비 감소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