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성장 호르몬 결핍 성장장애
역연령에 비해 저신장 (3백분위수 미만)
3세 이상 소아에서 1년 4cm 미만 성장 속도
전두부 돌출, 둥근 얼굴, 복부비만
정상적인 상절과 하절 비율
골연령이 역연령에 비해 낮음
성장호르몬 자극 검사에서 성장호르몬의 최고 반응치가 7-10ng/mL 미만인 경우 진단
갑상샘 호르몬 부족시엔 성장 호르몬의 합성 및 분비 능력이 정상이라도 성장 호르몬의 합성과 분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성장장애를 나타낸다. 이런 이유로 성장 호르몬 자극 검사를 시행하기 전에 반드시 갑상샘 기능검사를 실시해서 정상 기능임을 확인해야 함.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