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외음암 및 질암

외음암 (Vulvar cancer)

기본 개념

외음암의 분류와 진단

  • 정의: 외음부에 발생하는 침윤성 암으로 대음순, 소음순, 바르톨린샘, 음핵에 발생하며 대부분 편평세포암종.

  • 분류

    •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본문에서의 내용은 편평세포암종의 외음암을 기본으로 하며, 기타 드물지만 중요한 형태의 외음암은 추가개념에 따로 기술하였다.

  • 증상

    • 대부분 무증상

    • 오래 지속되는 가려움증

    • 종괴, 반점, 색소침착

    • 통증, 궤양, 출혈

    • 세혜부 덩이

  • 진단: 피부 펀치생검

  • 병기 결정 (2021 FIGO staging)


[1] 부인과학 6판. pg. 806-808

[2] FIGO staging for carcinoma of the vulva: 2021 revision, pg.45

외음암의 치료

  • Stage I, II

  • Stage III, IV

  • 요약

    1. 원발종양의 수술적 치료

      • stage 1A는 근치외음절제술이나 림프절절제술은 시행하지 않는다.

      • stage I, II에서 젊은 여성의 경우 적극적으로 외음보존술을 고려할 수 있다.

      • 수술 후 이환율이나 기능장애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수술, 방사선치료, 화학요법을 적절히 병합하여 병변을 줄인 후 보존적 수술을 고려한다.

    2. 국소림프절에 대한 치료

      • 편측으로 위치한 외음암은 동측의 림프절로 연결되며, 동측의 림프절에서 전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반대편 림프절절제술은 시행하지 않아도 된다.

      • 그러나 중앙선에 위치한 종양이나 중앙선에서 2 cm 이내에 종양이 위치한 경우는 양측 서혜림프절 절제술을 고려해야 한다.


[1] 부인과학 6판. pg. 809-812

추가 개념

기타 외음암

  • 외음부 파제트병 (Paget’s disease of the vulva)

    • 유방에서 발견되는 세포와 동일한 형태. 대부분 상피 내에 국한되나, 15% 정도에서 침윤성 선암 발견

    • 임상 양상: 폐경 후 발병, 육안적 습진성 변화, 융기되고 반짝거리는 모습 “cake-icing appearance”

    • 치료: 광범위 국소 절제술

  • 흑색종

    • 침윤 1mm 이하 : 근치 국소 절제

    • 침윤 1-4mm : 광범위 국소 절제 + 서혜대퇴림프절절제

  • 바르톨린샘암종

    • 근치외음절제술 (radical vulvectomy) + 서혜대퇴림프절절제

  • 기저세포암종

    • 가려움증 및 작열감

    • 특징적인 병변 : 직경 2cm 이하의 중앙부위 궤양을 동반(=잠식성궤양(rodent ulcer))

    • 근치국소절제술


[1] 부인과학, 6판. pg. 812-817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