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이차성 무월경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기본 개념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개요

FSH 수치가 낮고, 에스트로겐 수치가 낮으면 반드시 뇌하수체와 시상하부의 병소를 확인해야한다.

  • 원인: 뇌하수체기능 저하의 원인으로는 뇌하수체 종양, 괴사, 뇌하수체 감염, 염증성/침윤성 질환, empty sella syndrome, 동맥류 등이 있다.

  • 치료: 원인 교정이 가능하다면 원인을 교정하여 치료하고, 비가역적 손상의 경우 호르몬 보충이 필요하다.

뇌하수체 괴사

[쉬한 증후군 Sheehan syndrome]

산후 출혈이 과다하게 발생할 경우, 뇌하수체가 충분한 혈류를 공급받지 못해 허혈 상태에 빠져 괴사가 발생하는 질환으로, panhypopituitarism (범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호르몬 보충 치료가 필요하다.


[뇌하수체졸중 Pituitary apoplexy]

뇌하수체에 발생한 출혈성 경색 (hemorrhagic infarction). 응급 감압이 필요

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 종양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뇌 영상검사를 시행해야한다.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다음과 같다.

  • 두개인두종 → 완전한 수술적 절제가 필요

  • 뇌하수체 샘종 → 비기능성/기능성 여부, 크기와 증상에 따른 치료

  • 생식세포종 (Germ cell tumor)

    • Germinoma는 방사선에 민감하기 때문에 수술 없이 RT 단독이나 CCRT 로 치료

    • Mature teratoma최대 종양 절제가 필요

    • 나머지 생식세포종은 항암치료+방사선요법이 필요

뇌하수체 염증성/침윤성 질환

  • Sarcoidosis
    뇌하수체에 sarcodosis가 발생하면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나타날 수 있고, 전신 sarcoidosis 에 대한 치료 (스테로이드 투여등 ) 를 시행한다.

  • Lymphocytic hypophysitis (림프구성 뇌하수체염)

    뇌하수체 전엽에 림프구가 침윤하여 염증과 파괴를 보이는 드문 자가면역질환으로 주로 임신 말기나 분만 후 여성에서 발생한다.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치료한다.

빈안장 증후군 (Empty sella syndrome)

  • 정의: 뇌하수체가 위치한 sella turcica에 CSF가 차면서 뇌하수체가 압박되고 위축되어 후방/하방의 위치에 존재하게 되는 질환

  • 원인: 원발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나, 과거 수술, 방사선치료나 뇌하수체 샘종의 허혈, 출혈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 치료

    • 호르몬 보충으로 치료.

    • 시야증상이나 CSF rhinorrhea가 발생할 경우 수술의 적응증.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