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콩팥기능상실, 급성신부전 (ARF=AKI)
정의 (아래 3가지 중 하나에 해당하면 AKI)
48시간 내 혈청 Cr 0.3mg/dL이상 상승
1주일 내 혈청 Cr 기저치보다 50% 이상 상승
6시간 이상 지속되는 urine output < 0.5mL/kg/hr (** 핍뇨 기준 = <400mL/day)
분류
1) 신전성 (prerenal) : 신장으로의 혈류 감소
Hypovolemia, Cardiac output 감소
Autoregulation 손상: NSAIDs(수입세동맥 이완 억제), ACEI or ARB(수출세동맥 수축 억제)
2) 신성 (renal) : 신장 자체의 손상
사구체신염 / 허혈이나 패혈증, 신독성물질 / 혈관염 등
3) 신후성 (postrenal) : 소변 유출로 막힘
주로 방광목의 폐쇄로 인함(BPH, 전립선암 등)
진단
자세한 병력청취와 신체진찰
신전성: 구토, 설사, 이뇨제나 ACEI 복용 등의 병력 / 저혈압, 빈맥 등의 징후
신후성: 요석, 전립선 질환 등의 병력 / 복부 팽만감이나 치골 위통증 등의 징후
신성: 신전성과 신후성에 모두 해당 X / 신독성 약물 복용력 등이 있을 때
실험실 검사
FeNa는 신장의 Na 재흡수 능력을 반영, 재흡수를 많이 할수록 FeNa는 감소!
따라서 volume depletion이 있는 prerenal azotemia에서는 Na을 재흡수 하니 1%보다 작고, 재흡수기능이 손상된 Tubular necrosis 등에서는 1%보다 큼
단, 횡문근융해증이나 조영제 유발 AKI 등에선 예외적으로 FeNa가 1%보다 작음.
BUN은 prerenal azotemia에서 urea recycling에 의해 증가, 하지만 upper GI bleeding이나 glucorticoid 사용 등에 의해서도 상승 가능.
Urine sediment(침전물)
ATN: Muddy brown granular cast, Tubular epithelial cell cast 등
Interstitial nephritis: WBC cast, eosinophil 등
GN: RBC cast, dysmorhpic RBC 등
영상검사
초음파 or 신장 CT: postrenal AKI 감별 / 신장 크기를 통해 CKD 구별 가능
postrenal AKI의 감별 시 보통 도뇨관 삽입을 바로 해보거나 신초음파를 통해 감별
Vacular imaging: venous or arterial obstruction 감별
치료 원칙
기본 치료: 혈역학적 개선, 수분 및 전해질 교정, 신독성 약물 중단, 신장 대사 약물 용량 조정 등
1) 신전성 (prerenal): Renal perfusion의 개선
Hypovolemic + Hypochloremic: N/S
Hypovolemic + Hypochloremic X: Linger’s lactate, Plasma-Lyte 등
과다출혈 시: pRBC
2) 신성 (renal) : 원인 질환 치료
3) 신후성 (postrenal) : 폐쇄 위치에 따라 치료
경요도/두덩위 도뇨관 삽입 : 방광 이하 level “아랫배에서 덩이 만져짐”
피부경유콩팥창냄술/요관스텐트 삽입 : 방광 이상 level
** Postrenal Obstructive diuresis (폐쇄후 이뇨 현상 = Postobstructive diuresis)
양쪽 완전 폐쇄의 재개통 이후 다뇨가 발생하는 것으로, 폐쇄 기간 동안 축적된 salt, water, urea 등 배설
환자 전해질 상태 주시하면서 경구 수분 보충 (불가능하면 IV로 투여)
[응급 투석의 적응증]
요독증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 심외막염, 뇌병증, 말초신경장애
이뇨제에도 반응 없는 체액 과다
내과적으로 교정이 안되는 심한 고칼륨혈증
내과적으로 교정이 안되는 대사성 산증
일부 독성 물질 중독 시
[1] Harrsion 21e, pg. 2296-2309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