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간담췌) (new) > 간경화 및 합병증

간 경변증 (간경화, Cirrhosis)

기본 개념

간 경변증 (간경화, Cirrhosis)

  • 정의 : 섬유화와 재생 결절 형성으로 인한 간의 구조적 왜곡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병리학적 상태

  • 병태생리: hepatic stellate cell 활성화 ⟶ 콜라겐 등 세포외기질 축적 ⟶ 섬유화

  • 진단

    • 영상학적 검사에서 간의 형태학적 변화 또는 복수 / 문맥압 항진증 소견 여부를 확인.

      • 간표면의 결절성 (surface nodularity)

      • 우엽 및 좌엽 내측 구역의 위축 / 좌엽 및 꼬리엽의 비후 (Redistribution of hepatic volume)

      • 문맥 확장

      • 간내 결절

      • 측부순환 혈관 (collateral vessel)

      • 비장비대

    • 영상이 확정적이지 않을 경우 간생검으로 진단


      초음파: surface nodularity, coarse echotexture

      CT: surface nodularity, fissure widening, edge blunting



  • 원인 : 만성 HBV / HCV 감염, 음주, 비알코올성지방간, 자가면역간염, PBC/PSC, 윌슨병 등

  • 분류

    • 대상성 간 경변증 (compensated LC) : 간경변증에서 간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

    • 비대상성 간 경변증 (decompensated LC) : 간경변증에서 간 기능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황달 등이 보일 경우 비대상성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 (정맥류 출혈이 아닌 단순 정맥류만으로는 판단하지 않음)

  • 증상 : 식욕부진, 피로, 황달, 부종, 응고장애, 복수 등

    • 합성 기능장애 : 알부민 감소, 응고인자 감소

    • 분해 기능장애 : 황달

    • steroid 대사 장애 : spider angioma, palmar erythema, gynecomastia

    • 구조적 장애 : 식도정맥류, 간성뇌증, 지라비대


  • 조치

    • 대상성 간경변증 :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 → 섬유화 진행 호전

    • 비대상성 간경변증 :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 + 합병증 관리 (정맥류 출혈, 복수, 간성 뇌증, hepato-renal syndrome)


  • 예후 평가: Child-Pugh score

    • Child-Pugh score란, liver cirrhosis와 같은 만성 간질환에서 간기능을 평가하여 예후를 판단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이다.

    • 5-6점 : Class A / 7-9점 : Class B / 10-15점 : Class C

    • Class C : 간암에 대한 수술 불가



[1] Harrison 22e, pg. 2708-2710

원인별 간경변증

1. 알코올 관련 간경변증 (Alcohol-Associated Cirrhosis)

  • 병태생리: 에탄올 대사 ⟶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성 ⟶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 ⟶ 성상세포 활성화 및 섬유화

  • 임상양상: 우상복부 불편감, 발열 등 비특이적 증상 또는 합병증으로 발현. 손바닥 홍반(palmar erythema), 거미 혈관종(spider angioma), 여성형 유방 등

  • 검사소견

    • AST > ALT (2:1 비율), AST/ALT 수치는 보통 <400 IU/mL

    • 최근 알콜 섭취 여부 평가 마커: PEth (포스파티딜에탄올)

  • 치료

    • 금주 (Abstinence): 가장 중요한 치료

      • 항갈망제: acamprosate, baclofen 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약물

    • 영양 공급: 적절한 영양 지원 필수

    • 중증 알코올성 간염 (DF > 32): 감염 없을 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사용 고려. 경우에 따라 N-아세틸시스테인 정주 병용


2. 바이러스 간염 관련 간경변증 (Viral Hepatitis B/C)

  • C형 간염: DAA(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로 95% 이상 완치 가능

  • B형 간염: 항바이러스제(Entecavir, Tenofovir 선호)로 바이러스 억제. 비대상성 환자도 대상성으로 전환 가능


3. 대사기능장애 관련 지방간염 (MASH)

  • 과거 NASH로 불림. 비만, 당뇨 등 대사 증후군과 연관

  • 진단되지 않은 "원인 불명(cryptogenic)" 간경변증의 상당수가 MASH로 추정됨

  • 해당 단원 참고



4. 담즙성 간경변증 (Biliary Cirrhosis)

  •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 (PBC)

    • 특징: 중년 여성 호발, 자가면역질환

    • 진단: 항미토콘드리아 항체(AMA) 양성(95%), ALP 상승

    • 증상: 피로감, 소양증(pruritus)

    • 치료

      • 1차: UDCA (13-15 mg/kg/일)

      • 2차(불응 시): Obeticholic acid, Elafibranor, Seladelpar


  •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PSC)

    • 특징: 염증성 장질환(IBD), 특히 궤양성 대장염(UC) 동반 흔함

    • 진단: MRCP가 진단에 가장 중요한 영상 검사. 담관의 "구슬 모양(beaded)" 협착 소견.

    • 합병증: 담관암(Cholangiocarcinoma) 발생 위험

    • 치료: 효과가 입증된 약물 없음. 주 담관 협착 시 내시경적 확장술. 궁극적 치료는 간이식



[1] Harrison 22e, pg. 2708-2710

간경변증의 주요 합병증

  1. 문맥고혈압 (Portal Hypertension)

  1. 정맥류 출혈

  2. 복수

  3.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SBP)

  4. 간신 증후군 (Hepatorenal Syndrome, HRS)

  5. 간성 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문맥압 항진증 (Portal hypertension)

  • 정의: Hepatic vein pressure gradient (HVPG) > 5mmHg

    간내 혈류의 intrahepatic resistance 가 증가하면서 문맥압이 항진되는 상황

    **HVPG : IVC 압력과 portal vein 의 압력차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문맥고혈압(CSPH)은 HVPG ≥ 10 mmHg

  • 원인

    • Prehepatic : portal vein thrombosis

    • Intrahepatic : cirrhosis, alcoholic hepatitis, hepatic sinusoidal obstruction

    • Posthepatic : Budd-chiari syndrome, chronic Rt heart failure

  • 의의

    • 간경화 환자에서 문맥압이 증가할수록 splanchnic circulation이 증가

      식도/위 정맥류, 복수, 간성 뇌증, 간신 증후군 등의 합병증 발생 위험 증가


[1] Harrison 22e, pg. 2708-2710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