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신생아 감염질환

신생아 세균성 패혈증

기본 개념

신생아 패혈증 (neonatal sepsis)

  • 시기에 따른 분류

    • 조기 발병형 (Early-onset): 생후 7일 이내 발생. 주로 분만전 또는 분만 도중에 감염이 발생

    • 후기 발병형 (Late-onset): 생후 7일에서 30일 사이에 발생. 주산기 또는 출생 후 감염이 원인

  • 주요 원인

    • 조기 발병형: B군 연쇄상구균 (GBS)대장균 (E. coli)이 가장 흔한 원인균임.

    • 후기 발병형 및 병원 내 감염: 응고효소 음성 포도상구균 (CoNS), 황색포도상구균 (S. aureus), 장구균, 그람 음성균 (녹농균, 클렙시엘라 등), 진균 (Candida) 등이 주요 원인

  • 증상

    • 발열, 불안정한 체온, 저혈압, 창백하고 얼룩덜룩한 피부, 식욕부진

    • 대사산증, 빈맥/서맥, 무호흡/호흡장애/청색증

    • 보챔, 무기력, 경련, hypotonia 등

  • 진단

    • 혈액검사, 혈액 배양검사, 소변검사, 소변배양검사

    • 염증 표지자: C-반응 단백 (CRP), 프로칼시토닌 (Procalcitonin)

    • 뇌척수액 검사: 세포 수, 단백질, 당, 그람염색, 배양검사, 바이러스검사(HSV) 등

    • 영상 검사 (CXR, 초음파)

  • 치료

    • 신생아에게서 국소감염의 특정 징후 없이 단지 발열 또는 저채온, 처짐 등의 증상으로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시행 (GBS, 그람음성균, 리스테리아, enterococcus에 효과적인 약제 선택)

    • 조기 발현형 세균 감염: ampicillin + gentamycin 또는 ampicillin + cefotaxime
      (+경험적 acyclovir)

    • 원인 균 및 감수성 결과가 확인된 경우라면 적절한 항생제 선택, 일반적으로 10일 정도 치료

    • 신생아의 상태가 양호하고 혈액배양결과가 48시간동안 무균상태라면 경험적 항생제 중단


[1] 홍창의 12e, pg. 346-362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