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간담췌) (new) > 독성 간염

약제에 의한 독성 간염

기본 개념

약제 독성 간염 (Drug Induced Liver Injury)

  • 정의 : 약물, 건강기능식품 등에 의해 생긴 간 손상

  • 분류

    • 내인성/직접독성 간염 (Intrinsic/Direct toxicity)

      • 예측 가능, 용량 의존적

      • 짧은 잠복기 (수 시간 이내)

      • 특정하고 재현 가능한 조직 소견 (예: 중심소엽성 괴사)

      • 대표 약물: 아세트아미노펜

    • 특발성 반응 (Idiosyncratic reaction)

      • 예측 불가능, 발생 빈도 낮음 (1/1,000 ~ 1/100,000)

      • 용량 비의존적으로 보이나, 보통 고용량(>100mg/day) 약물에서 호발

      • 다양한 잠복기 (보통 5-90일)

      • 과민반응 (발진, 발열, 호산구 증가 등) 동반 가능

      • 대표 약물: INH

  • 임상양상

    • 대부분 경우 무증상

    • 구역, 구토와 같은 비특이적 증상 및 황달, 가려움증 발생 가능

    • DRESS syndrome (발열, 호산구증가, 발진, 림프절병증, 간부전, 신부전)

    • 심하면 급성 간부전까지 진행 (coagulopathy, encephalopathy 동반한 황달)


  • 진단 및 평가

    • 자세한 병력 청취(바이러스, 알코올 등 타 모든 원인 배제 후 진단)

    • 생화학적 분류 (R value)

      • 정의: R = (환자 ALT / 정상상한치 ALT) / (환자 ALP / 정상상한치 ALP)

      • 분류

        • 간세포형 (Hepatocellular): R > 5

        • 담즙정체형 (Cholestatic): R < 2

        • 혼합형 (Mixed): 2 ≤ R ≤ 5


  • 치료 : 원인 약물 복용 중단 + 대증치료 (+ 해독제)

    • 황달이 발생하거나 AST, ALT 수치가 ULN의 5배를 넘는 경우 재투여 금기

    •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섭취 8시간 이내 N-acetylcysteine 투여하는 것이 권고되나, 24-36시간 후까지도 치료 효과가 증명됨


[1] Harrsion 22e, pg. 2665-2673

주요 약물별 임상 양상

  • 담즙 정체

    • anabolic steroid, tamoxifen

    • 항생제: erythromycin, rifampin, clamox

    • carbamazepine, duloxetine, TCA

    • methimazole, statin, ezetimibe

  • 지방간

    • amiodarone

    • tetracycline

    • valproic acid

  • 간염

    • halothane

    • INH, rifampin, minocycline, pyrazinamide

    • phenytoin, carbamazepine, valproic acid, phenobarbital

    • ketoconazole, fluconazole, itraconazole

    • ACEi, losartan

    • ICI: ipilimumab, pembrolizumab, nivolumab

  • 독성 (괴사)

    • acetaminophen

  • 육아종

    • sulfonamide, carbamazepine, allopurinol, quinidine, diltiazem

  • 혈관 손상

    • oxaliplatin

    • melphalan


[1] Harrsion 22e, pg. 266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