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절개부 아래에 지방, 장액, 림프액이 녹아서 고인 것
증상 : 수술 상처에서 비교적 깨끗하고 투명한 액체가 흘러나올 때 의심
치료 : 단순 배액 드레싱, 압박 증상이 있다면 흡인 후 압박 드레싱, 감염 의심 시 개방 및 배액
[1] Chapter 13 합병증, 외과학 2판, 2017
정의 : 수술 후 창상 치유가 지연되어 봉합된 부분이 벌어지는 것.
원인 : 부적절한 봉합 방법 (suture failure), 수술 부위 감염, 수술 부위 압력을 높이는 요인(장액종, 혈종 동반 / 갑작스런 복압 상승), 봉합사에 과도한 장력이 걸린 경우(조직 허혈) 등
위험인자 : 비만, 당뇨, 요독증, 면역저하, 패혈증, 황달, 저알부민혈증, 스테로이드, 암 등
임상양상: 대개 수술 후 4-14일차에 발생, 증상은 창상이 벌어진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동반된 창상 감염이나 장액종/혈종의 증상이 있을 수 있음
얕은 수준의 창상 열개는 무증상이거나 진피층/피하지방층에서 삼출물 배액
상처 부위에서 혈액-장액성 (serosanguinous) 액체가 다량 배액 → 근막 열개에 의한 복강내 액체(peritoneal fluid)의 누출 시사
“수술 상처 밑으로 근막층이 열렸다” , “수술 상처 밑으로 봉합선이 만져지지 않았다” → 근막 열개를 시사
열개된 창상 사이로 장이 튀어나온 경우 → evsiceration, 수술적 응급 상황
평가 : WUWHS Sandy grading system
창상이 벌어진 깊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Grade 1 : 표피층(epidermis)만 분리된 상태. 피하지방층은 보이지 않음
Grade 1a : Grade 1 + 창상 감염의 증상과 징후
Grade 2 : 피하지방층(Subcutaneous layer) 노출. 근막은 보이지 않음
Grade 2a : Grade 2 + 창상감염의 증상과 징후
Grade 3 : 피하지방층(Subcutaneous layer)과 근막이 노출.
Grade 3a : Grade 3 + 창상감염의 증상과 징후
Grade 4 : 근막 벌어짐 (Fascia dehiscence), organ space/viscera/implant/bone exposure
Grade 4a : Grade 4 + 창상 감염의 증상과 징후
치료의 원칙
장기탈출증이 동반된 경우 : 응급 수술
(응급 수술을 준비하는 동안 탈출된 장기는 멸균된 거즈에 생리식염수를 적셔 덮어놓기)
감염/오염되지 않은 창상 열개
Grade 1 : 생리식염수 거즈 패킹 + 개방 드레싱→ secondary healing 유도
Grade 2, 3 : 생리식염수 거즈 패킹 + 개방드레싱 → secondary healing 유도, 또는 drain 삽입 후 피부/피하지방층 봉합 → primary closure
**drain 삽입: 피하지방층에 fluid collection 및 dead space가 생기는 것을 방지. 기존에 혈종/장액종이 동반되었던 경우라면 예방이 필요
Grade 4 : 수술적 창상 탐색* → 근막 봉합+ + 피부/피하지방층 봉합 (primary/ delayed primary repair)
→창상 탐색*: 복강내 감염, 농양등이 있는지 확인, 복압을 높일만한 요인 (문합부 누출, billoma, bowel wall edema 등)확인.
→근막 봉합+ : 근막 봉합시 continuous mass suture + absorbable mesh 를 사용하여 근막에 장력이 과하게 걸리지 않게 봉합하는 것이 중요
→봉합을 시도하는데 skin/muscle defect의 크기가 커서 창상의 approximation이 불가한 경우, flap이나 skin graft를 고려할 수 있음
창상부위 감염(SSI)이 동반된 열개
Grade 1a,2a,3a :
감염 때문에 창상 벌어짐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고, 감염된 상태로 봉합하는 경우 다시 창상이 벌어질 위험이 높음. 감염 조직 충분히 제거, 항생제 투여, 창상 소독과 함께 상처를 개방하여 secondary healing을 유도
Grade 4a :
근막이 벌어진 상태에서 감염이 동반된 경우라면 감염된 조직을 충분히 전부 제거한 후, tension 없이 건강한 조직끼리 맞닿게 하여 근막을 재봉합.
피하지방층/피부는 같이 봉합하거나, 개방하여 secondary healing 유도.
만약 복강 내 오염으로 인한 패혈증이 있거나, 심한 bowel wall edema으로 인해 근막 재봉합이 불가능할 경우 open abdomen으로 두고 음압치료(NPWT) 시행
[1] Sabiston 21e, pg. 241, 430
[2] Uptodate : Complications of abdominal surgical incisions
정의 : 절개 하부 피하층에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것
증상 : 수술 상처 부위 주변에 멍
치료 : 배액과 압박 드레싱 →지속되거나 커지면 절개부 개방 후 지혈
종류 : CDC는 감염의 깊이에 따라 superficial incisional, deep incisional, organ space wound SSI으로 구분하고 있다.
절개부 표재성 (supf. incisional) : 피부 및 피하지방 침범
절개부 심부성 (deep incisional) : 근막 및 근육 침범
기관공간창상 (organ space wound) : 내장기관 침범
증상 : 주로 수술 5-6일째 수술 부위 발적, 압통, 부종. 발열이나 오한 등 전신 증상도 동반될 수 있음.
치료
상처 개방 (m/i)
괴사조직 혹은 감염조직이 있을 경우 debridement
항생제의 적응증
38.5도 이상의 발열
HR > 110/min
WBC > 12,000/uL
연조직염이 동반된 경우 (상처 경계로부터 5cm 이상 벗어난 부위의 발적)
최소 1일 1회 이상의 습윤 거즈를 이용한 wet dressing
[1] Chapter 13 합병증, 외과학 2판, 2017
테이프 : 미용상 중요한 부분의 작은 표재성 창상에만 사용
큰 장력이 필요한 상처 (e.g > 복부 근막 봉합 등)에 사용하면 적절치 못한 상피의 접근 및 미용상 불량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얼굴, 드러나는 부위 등 미용적으로 중요한 부분의 얇은 피부 상처 등에만 사용해야 함.
조직접착제 (‘본드’) : 작은 단순 일직선의 상처에 사용
[1] Chapter 12 창상치유, 외과학 2판, 2017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