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정신분석
치료환경
자유연상: 환자가 자발적으로 떠오르는 모든 생각, 감각, 이미지등을 제한 없이 말로 표현
분석적 중립성: 분석자가 환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정신적인 실체를 이해
과정 및 기법
전이: 환자가 치료자에게 느끼는 감정
역전이: 치료자가 환자에게 느끼는 감정
해석: 무의식의 의식화, 즉 환자의 자유연상(무의식)을 의식적으로 이해시킴
저항: 환자가 정신분석 중 무의식중으로 분석자의 태도와 맞서게 되는것
적응증
불안장애, 강박장애, 공포증, 신경성 우울, 성격장애
특히, 치료 의지가 강한, 본인의 문제가 심인성인것을 인식, 자아의 기능이 유지된 환자에서 사용
지지적 정신치료
개념
관계나 대인문제, 일상생활을 하는 현실 안에서 환자 스스로를 초점 맞추는것
과정 및 기법
방어: 기저의 방어(저항)을 해소하는것이 아닌 의문을 제시하고 직면
적개심을 동료에게 투사한다면 투사는 환자에게 해가 됨 → 행동에 의문을 제시하여 적개심(투사)을 직면시켜 해소
개입: 칭찬, 안심시키기, 격려, 조언, 재구성화 등
적응증
정신치료의 금기이외는 사용될 수 있음
단기정신치료
개념: 치료자가 적극적인 개입으로 치료 목적에 맞춰 환자를 치료, 방어기제 교정
적응증
적응장애, 신경증적 성격장애
추가 개념
정신사회치료의 금기
섬망, 물질 중독상태, 치매 말기, 꾀병, 반사회적성격장애 등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